동물 세계의 기묘하고 독특한 식습관

동물 세계의 기묘하고 독특한 식습관
댓글 0 조회   550

작성자 : 가비슈포댄서
게시글 보기
 

 

타조들이 돌맹이를 먹는 건 단순히 이상한 습관이 아니라 꼭 필요한 소화 방식 때문이야

 

닭을 비롯한 대부분의 새들은 이빨이 없어서 음식을 잘게 씹을 수가 없지, 대신 위가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는데 그중 하나가 근위라고 불리는 모래주머니야, 여기는 두꺼운 근육벽으로 되어 있어서 음식물을 힘껏 으깨는 역할을 해

 

 

근데 그냥 근육만으로는 단단한 곡식 껍질이나 뼈 같은 걸 제대로 부수기 힘들잖아, 그래서 새들이 작은 돌멩이나 자갈을 일부러 삼켜서 모래주머니 안에 저장해 두는 거야, 그 돌멩이들이 일종의 맷돌처럼 작동하면서 음식물이랑 같이 눌리고 갈려서 잘게 부서지고 소화가 훨씬 잘 되는 거지.

 

 

즉 돌멩이는 새들한테 자연이 준 씹는 도구라고 보면 된다.

 

 

처음에 낙타가 선인장을 먹는 모습을 보면 '아니 ㅅㅂ 저걸 어떻게 먹지' 이런 생각이 드는데 

 

낙타가 선인장을 먹을 수 있는 건 입 구조와 소화 능력 덕분이야

 

 

낙타 입술은 가죽처럼 두껍고 단단해 가시에 잘 찔리지 않고 윗입술은 두 갈래로 갈라져 있어서 자유롭게 먹이를 뜯어내지 또 입안에는 유두라는 돌기가 가득해서 전부 목구멍 쪽을 향하고 있어,

 

가시가 걸리지 않고 그냥 안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지 이 돌기들이 단단해서 상처도 안 나

 

 

그리고 낙타는 반추동물이라 삼킨 선인장을 다시 꺼내 되새김질하면서 잘게 부수고 

네 개의 위에서 효소로 소화하니까 딱딱한 가시까지 분해할 수 있는 거야

 

 

악어가 돌을 삼키는 이유
 

새처럼 소화를 돕기도 하지만, 

 

또 다른 이유는 잠수할 때 몸을 무겁게 해서 물속에 오래 머물기 위해서야.

 


기린이 뼈를 핥고 씹는 행동(osteophagy)을 하는 이유


기린은 초식동물이기에 당연히 나뭇잎만 먹을 것 같지만, 뼈를 씹고 핥아서 미네랄을 섭취하기도 해. 

길쭉한 혀로 뼈를 핥고 씹는 모습이 포착됨.

 


우리가 알고 있는 플라밍고는 붉은색과 분홍색을 띄고 있는 예쁜 새다.

 


하지만 사실 플라밍고는 붉은색이 아니라 회색 깃털을 가진 새야.

플라밍고의 새끼들을 보면 단 한 마리도 붉은색의 개체를 찾아볼 수 없어.

 

그렇담 회색 깃털을 가진 플라밍고가 어떻게 붉은색의 깃털을 가지게 된 걸까? 

 


 그 비밀은 이 녀석들의 먹이에 있어.

 

먹는 먹이(새우, 조류)에 포함된 카로티노이드 색소 때문에 몸이 분홍빛으로 변하는 거야. 

 

음식이 곧 깃털 색이 된 사례지.

 

킹코브라는 주로 다른 뱀을 잡아먹는 것으로 유명해

 

킹코브라의 학명인 'Ophiophagus hannah는 '뱀을 먹는 동물'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대표적인 식사성(食蛇性) 동물이야

 


대부분의 뱀은 쥐, 새, 개구리 등을 먹는데, 킹코브라는 자기와 같은 파충류인 

 

다른 뱀들을 전문적으로 사냥하며 자신과 비슷한 크기의 독사도 사냥해서 먹어 치움 ㄷㄷ.

 

 

 


가비슈포댄서님의 최신 글
유머게시판
제목
  • 후방) 윤공주 실시간
    548 4시간전
  • 검수완박하면 안되는 이유
    506 08.30
  • 미국 뉴욕 미용사 월급
    524 08.30
  • PC 점유율 순위 지난주 & 8년 전 비교
    580 08.30
  • 위고비 단약 부작용
    527 08.30
  • 세계에서 가장 맛 없는 술
    569 08.30
  • 전자레인지 환불 불가 사유
    557 08.30
  • 고딩들에게 욕먹은 36살 남자
    577 08.30
  • 옛날에 의외로 이미지를 가진 무술
    501 08.30
  • 슬롯머신과 바이브코딩 비교
    510 08.30
  • 요즘 ㅈ같은 이모티콘 1위
    536 08.30
  • 시가총액 세계 최고 식품기업 TOP 10
    567 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