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래머의 유래와 의미, feat 마릴린 먼로
댓글
0
조회
511
07.09 18:56

글래머는 오늘날 흔히 섹시하고 매력적인 여성의 몸매를 뜻하는 말로 쓰이지만 원래 의미는 전혀 달랐다 아주 오래된 단어로 원래는 마법이나 환상 속임수와 관련된 말이었다. 중세 스코틀랜드어 gramarye에서 유래했으며 당시 사람들은 책을 읽고 글을 아는 사람을 마법사로 보는 경향이 있었다
그래서 gramarye는 점차 마법 주문 환상의 뜻으로 바뀌었다. 이 단어가 발음이 변하며 glamour가 되었고 사람을 홀리는 매혹적인 힘 환상처럼 멋져 보이는 외양이라는 뜻이 되었다 1800년대 후반부터 사람이나 스타일 의상 등에 대해 보통과 달리 특별하게 눈부신 아름답고 매혹적인 뜻으로 쓰이기 시작했다.
1900년대 들어 헐리우드 여배우들의 스타일에 붙으며 화려하고 섹시한 매력이라는 의미로 굳어졌고 특히 여성의 관능적인 몸매나 외모를 지칭할 때도 사용되었다. 그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1953년 영화 《로마의 휴일》에서 안나 공주 역을 맡아 단숨에 대스타가 된 오드리 헵번은, 분명 아름답고 매혹적인 여성이었지만 일반적으로 ‘글래머’라고 불리진 않는다. 헵번은 우아하고 세련된 아름다움의 대명사로, ‘글래머’보다는 ‘엘레강스(Elegance)’와 ‘클래식 뷰티(Classic Beauty)’를 상징하는 인물로 분류된다.
그렇다면 어떤 여성이 글래머로 불릴까?
리타 헤이원드 영화 '길다'에서 나오는 장면
( 영화 쇼생크 탈출에서 레드를 비롯한 재소자들이 몇 번씩 봐도 또 감탄하는 바로 그 장면이다.)
바로 진 할로우, 에바 가드너, 리타 헤이워드처럼 영화 속에서 치명적인 매력과 관능적인 분위기로 대중을 사로잡았던 여배우들이다. 이들은 ‘글래머 스타(Glamour Stars)’ 혹은 ‘스크린 시레나(Screen Sirens)’라고 불리며, 고전 할리우드 시대를 대표하는 섹스 심볼로 활약했다.
그리고 할리우드 역사상 가장 널리 알려진 글래머 스타가 등장했는데,,,,,,